GOOD4ME
KB금융 주식 분석 / 은행 관련주 본문
2008년 9월 29일 설립한 KB금융은 금융지주회사를 중심으로 하는 기업으로 2008년 10월 10일 코스피에 종목코드 105560으로 상장하였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유가증권평가및처분이익(47.9%), 이자수익(18.2%), 신탁업무운용수익(16.6%)의 매출비중을 기록하고 있다.
2023년 3월 23일 기준 국민연금공단(7.95%), BlackRock Fund 계열(6.12%), 자사주(5.96%) 등의 지배구조로 이루어져있으며, 연관테마로 은행, 금융이 존재하며 각 테마들은 +1.10%, +0.26% 의 변동이 있었다.
금융 테마에서 1주 수익률 기준 9위(+1.87%)를 기록하고 있다.
기업 개요
네이버 증권 曰(에프앤가이드 發)
2008년 설립된 KB금융그룹의 지주회사로서 업계 선두권의 시장지위와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은행, 카드, 증권, 생명보험, 손해보험, 저축은행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함.
2022년 9월말 기준 업계 1위 점유율을 가진 KB국민은행과 더불어 13개의 자회사를 보유함.
WM, CIB, 글로벌, 자본시장부문을 신성장 영역으로 집중 육성하고, 디지털금융 강화 전략으로 No.1 금융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 중임.
배당현황
배당을 주는 주식으로 분기지급을 하고 있으며, 배당수익률은 높은 편이다.
올해 1분기 배당락일은 3월 30일이었으며, 지급된 배당금은 500원이었다.
펀더멘탈 상황 분석
포스팅 일자 | 은행주(11곳) 기준
외인보유율 확인 시, 2023년 2월, 74.3%로 최고점을 기록했다.
이후, 그래프 상으로는 점차 하락하다가
2023년 3월 24일, 최저점 72.1%를 기록했다.
펀더멘탈명 | 순위 | 금액 | 비고 |
시가총액 | 1위 | 19조 2386억원 | 코스피 17위 |
자산 | 1위 | 701조 1708억원 | |
부채 | 1위 | 651조 5279억원 | |
부채/(자산+부채) 비율 | 5위 | 48.16% | 1위(하나금융지주; 498.29%) |
매출액 | 1위 | 88조 8959억원 | |
매출액 증가율 | 4위 | 50.88% | 1위(하나금융지주; 69.98%) |
영업이익 | 2위 | 5조 6389억원 | 1위(신한지주; 5조 8881억원) |
영업이익 증가율 | 10위 | -7.52% | 1위(상상인; 40.49%) |
당기순이익 | 2위 | 4조 1732억원 | 1위(신한지주; 4조 7322억원) |
주당순이익 | 2위 | 1만 685원 | 1위(하나금융지주; 1만 1949원) |
다양한 지표 분석
포스팅 일자 | 은행주(11곳) 기준
PER 오름차순으로 8위(4.4)
PBR 오름차순으로 9위(0.38) 이다.
크게 EPS, BPS, PBR 그리고 ROE/ROA를 확인해보겠다.
EPS (✋)
2021-12 👉 연간 10,605원 / 분기 1,532원 (작년 말 대비 연간 📉)
2022-09 👉 분기 3,100원 (작년 말 대비 분기 📈)
2022-12 👉 연간 10,685원 / 분기 897원
- 작년 3분기 대비 작년 말 실적이 하락했다.
- 2021년 말 연간 EPS 대비 실적이 하락하였다.
- 2021년 말 분기 EPS 대비 실적이 하락하였다.
- 2022년 실적이 상승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PS (👍)
2021-12 👉 분기 121,808원(2021-12 말 종가; 55,000원) (작년 말 대비 📉)
2022-09 👉 분기 122,592원(2022-09 말 종가; 43,700원) (작년 말 대비 📉)
2022-12 👉 분기 124,124원(2022-12 말 종가; 48,500원)
- 주당 순 자산을 의미한다.
- 작년 12월 말 주가가 12월 BPS보다 2.55배 정도 낮기 때문에, 원금보장안정성은 만족한다.
- (재작년말 주가)/(재작년말 BPS) = 0.45 대비 (12월 말 주가)/(12월 예상 BPS) = 0.39 이므로 수치가 하락하여 투자 매력은 상승했다.
PBR (👍)
2021-12 👉 분기 0.45 (작년 말 대비 📈)
2022-09 👉 분기 0.36 (작년 말 대비 📉)
2022-12 👉 분기 0.39
- 작년 동일 분기 PBR 대비 0.06 낮아졌기 때문에 살짝 저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지난 3분기 PBR 대비 0.03 낮아졌기 때문에 살짝 고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보통 평가의 기준이 되는 0.7 이하이므로, 주가가 주당순자산에 비해 저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ROE/ROA (👎)
(ROE) 2021-12 👉 연간 9.8% (작년 말 대비 📈)
(ROE) 2022-12 👉 연간 9.17%
(ROA) 2021-12 👉 연간 0.69% (작년 말 대비 📈)
(ROA) 2022-12 👉 연간 0.61%
2021-12 ROE-ROA 👉 연간 9.11% (작년 말 대비 📈)
2022-12 ROE-ROA 👉 연간 8.56%
- 재작년보다 자기자본에 비해 당기순이익을 적게 거두어 비효율적인 사업을 운영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ROE-ROA를 보면 올해의 자기자본 비율이 부채 비율보다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금융분석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JYP엔터테인먼트 주식 분석 / 방송 및 연예기획 관련주 (0) | 2023.04.01 |
---|---|
삼성SDI 주식 분석 / 2차전지 관련주 (0) | 2023.03.27 |
이수화학 주식 분석 / 화학 관련주 (0) | 2023.03.23 |
SK하이닉스 주식 분석 / 반도체 관련주 (0) | 2023.03.22 |
한국전력 주식 분석 / 전기 관련주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