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4ME
JYP엔터테인먼트 주식 분석 / 방송 및 연예기획 관련주 본문
1996년 4월 25일 설립한 JYP엔터테인먼트는 엔터테인먼트, 음반, 매니지먼트업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으로 2001년 8월 30일 코스닥에 종목코드 035900으로 상장하였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음반사업(47.8%), 기타(33.0%), 콘서트(8.8%)의 매출비중을 기록하고 있다.
2023년 3월 31일 기준 박진영(15.22%), 국민연금공단(7.25%), 자사주(6.76%) 등의 지배구조로 이루어져있으며, 연관테마로 언택트, 플랫폼, 엔터테인먼트, 컨텐츠가 존재하며 각 테마들은 +1.42%, -1.95%, -0.31%, -0.75%의 변동이 있었다.
언택트 테마에서 1주 수익률 기준 20위(+6.61%)를 기록하고 있다.
기업 개요
네이버 증권 曰(에프앤가이드 發)
동사는 1996년 4월 25일 설립되어 2001년 8월 30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소속 연예인 가수 및 배우의 엔터테인먼트 활동과 음반, 음원의 제작 및 판매, MD 등 부가사업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음.
동사는 급변하는 음악 산업 트렌드에 유기적 대응과 아티스트의 효율적 운영 관리를 위해 기존 기능 중심의 수직적 조직 구조를 아티스트 단위의 수평적 조직 구조로 개편하면서 최적화된 레이블 시스템을 구축함.
배당현황
배당을 주는 주식으로 연간지급을 하고 있으며, 배당수익률은 낮은 편이다.
작년 배당락일은 12월 28일이었으며, 지급된 배당금은 369원이었다.
펀더멘탈 상황 분석
포스팅 일자 | 방송과엔터테인먼트주(56곳) 기준
외인보유율 확인 시, 2023년 초 34.0%로 최저점을 기록하다가
이후, 그래프 상으로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며,
3월 21일, 42.4%로 최고점을 기록했다.
2023년 3월 31일, 42.22%를 기록했다.
펀더멘탈명 | 순위 | 금액 | 비고 |
시가총액 | 2위 | 2조 7475억원 | 코스닥 10위 1위(하이브; 7조 8117억원) |
자산 | 15위 | 4111억원 | 1위(CJ ENM; 10조 3322억원) |
부채 | 19위 | 1066억원 | 1위(하이브; 5조 9879억원) |
부채/(자산+부채) 비율 | 45위 | 20.59% | 1위(제이웨이; 68.08%) |
매출액 | 12위 | 3459억원 | 1위(CJ ENM; 4조 7922억원) |
매출액 증가율 | 6위 | 78.39% | 1위(초록뱀컴퍼니; 282.33%) |
영업이익 | 4위 | 966억원 | 1위(하이브; 2369억원) |
영업이익 증가율 | 12위 | 66.88% | 1위(SM Life Design; 1443.39%) |
당기순이익 | 4위 | 675억원 | 1위(SBS; 1566억원) |
주당순이익 | 3위 | 1901원 | 1위(SBS; 8357원) |
다양한 지표 분석
포스팅 일자 | 방송과엔터테인먼트주(56곳) 기준
PER 오름차순으로 46위(40.72)
PBR 오름차순으로 55위(8.52) 이다.
크게 EPS, BPS, PBR 그리고 ROE/ROA를 확인해보겠다.
EPS (👎)
2021-12 👉 연간 1,900원 / 분기 960원 (작년 말 대비 연간 📈)
2022-09 👉 분기 631원 (작년 말 대비 분기 📈)
2022-12 👉 연간 1,901원 / 분기 370원
- 작년 3분기 대비 작년 말 실적이 하락했다.
- 2021년 말 연간 EPS 대비 실적이 하락하였다.
- 2021년 말 분기 EPS 대비 실적이 상승하였다.
- 2022년 실적이 하락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PS (👎)
2021-12 👉 분기 7,451원(2021-12 말 종가; 50,700원) (작년 말 대비 📉)
2022-09 👉 분기 8,772원(2022-09 말 종가; 58,800원) (작년 말 대비 📉)
2022-12 👉 분기 9,081원(2022-12 말 종가; 67,800원)
- 주당 순 자산을 의미한다.
- 작년 12월 말 주가가 12월 BPS보다 7.46배 정도 높기 때문에, 원금보장안정성은 만족하지 않는다.
- (재작년말 주가)/(재작년말 BPS) = 6.80 대비 (12월 말 주가)/(12월 예상 BPS) = 7.46 이므로 수치가 상승하여 투자 매력은 하락했다.
PBR (👎)
2021-12 👉 분기 6.8 (작년 말 대비 📉)
2022-09 👉 분기 6.7 (작년 말 대비 📉)
2022-12 👉 분기 7.47
- 작년 동일 분기 PBR 대비 0.67 높아졌기 때문에 고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지난 3분기 PBR 대비 0.77 높아졌기 때문에 고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보통 평가의 기준이 되는 1.5 이상이므로, 주가가 주당순자산에 비해 고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ROE/ROA (👎)
(ROE) 2021-12 👉 연간 31.43% (작년 말 대비 📈)
(ROE) 2022-12 👉 연간 24.67%
(ROA) 2021-12 👉 연간 24.94% (작년 말 대비 📈)
(ROA) 2022-12 👉 연간 18.53%
2021-12 ROE-ROA 👉 연간 6.49% (작년 말 대비 📈)
2022-12 ROE-ROA 👉 연간 6.14%
- 재작년보다 자기자본에 비해 당기순이익을 적게 거두어 비효율적인 사업을 운영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ROE-ROA를 보면 올해의 자기자본 비율이 부채 비율보다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금융분석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이글 주식 분석 / 2차전지 관련주 (0) | 2023.04.05 |
---|---|
삼천당제약 주식 분석 / 제약 관련주 (0) | 2023.04.03 |
삼성SDI 주식 분석 / 2차전지 관련주 (0) | 2023.03.27 |
KB금융 주식 분석 / 은행 관련주 (1) | 2023.03.24 |
이수화학 주식 분석 / 화학 관련주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