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4ME

LG화학 주식 분석 / 2차전지 관련주 본문

금융분석/국내주식

LG화학 주식 분석 / 2차전지 관련주

de_youn 2023. 3. 15. 20:04
반응형

2001년 4월 1일 설립한 LG화학석유화학계 기초 화학물질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으로 2001년 4월 25일 코스피에 종목코드 051910으로 상장하였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전지 사업부문(44.9%), 석유화학 사업부문(44.7%), 첨단소재 사업부문(7.0%)매출비중을 기록하고 있으며, [석유화학]PVC RESIN(53.7%)[석유화학]ABS(47.7%), [생명과학]성장호르몬제(42.0%)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2023년 3월 15일 기준 LG(33.34%)국민연금공단(6.84%) 등의 지배구조로 이루어져있으며, 연관테마로 폐배터리, 전기차, 2차전지, 화학, 모빌리티가 존재하며 각 테마들은 -7.13%-7.44%-8.02%-7.33%-7.14% 의 변동이 있었다.

2차전지 테마에서 1주 수익률 기준 15위(-4.73%)를 기록하고 있다.

 

LG화학-로고

 

LG화학-3개월-주가
LG화학 최근 3개월간 주가 추이

 

기업 개요

 

 

네이버 증권 曰(에프앤가이드 發)

더보기

네이버 증권 기업개요 긁어오기

 

LG화학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화학기업 중 하나로, 전자기기, 자동차, 에너지,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유기화학무기화학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화학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및 첨단소재 등을 개발, 제조하는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LG화학은 환경보호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친환경 소재와 친환경 제품의 개발에도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LG화학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며, 국제적인 기업으로서도 큰 발전을 이루고 있다.

 

배당현황

 

 

배당을 주는 주식으로 연간지급을 하고 있으며, 배당수익률은 낮은 편이다.

작년 배당락일은 12월 28일이었으며, 지급된 배당금은 10000원이었다.

 

LG화학-배당수익률
LG화학 2011년 ~ 2022년 배당수익률

 

펀더멘탈 상황 분석

 

LG화학-3개월-외인보유율
LG화학 최근 3개월간 외인보유율 추이

 

포스팅 일자 | 2차전지 관련주(122곳) 기준
외인보유율을 확인해보면 2022년 말 48.1%로 최저점을 기록하다가
이후, 그래프 상으로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48.x% 중후반
에서 유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23년 3월 15일, 48.6%로 최고점을 기록했다.

 

펀더멘탈명 순위 금액 비고
시가총액 2위 50조 1912억원 코스피 6위
1위(LG에너지솔루션; 131조 7420억원)
자산 2위 67조 9738억원 1위(POSCO홀딩스; 98조 4068억원)
부채 2위 30조 4927억원 1위(POSCO홀딩스; 40조 1494억원)
부채/(자산+부채) 비율 68위 30.96% 1위(엘아이에스; 45.76%)
매출액 2위 51조 8649억원 1위(POSCO홀딩스; 84조 7502억원)
매출액 증가율 70위 21.75% 1위(삼기이브이; 538.49%)
영업이익 2위 2조 9957억원 1위(POSCO홀딩스; 4조 8501억원)
영업이익 증가율 87위 -40.4% 1위(영화테크; 3152.85%)
당기순이익 2위 2조 1955억원 1위(POSCO홀딩스; 3조 5605억원)
주당순이익 5위 2만 3574원 1위(고려아연; 4만 572원)

 

 

다양한 지표 분석

포스팅 일자 | 2차전지 관련주(122곳) 기준
PER 오름차순으로 84위(30.33)
PBR 오름차순으로 53위(1.78) 이다.

 

LG화학-연간지표
LG화학 2018년 ~ 2023년 연간지표

 

LG화학-분기지표
LG화학 2021년 12월 ~ 2022년 12월 분기지표

 

크게 EPSBPSPBR 그리고 ROE/ROA를 확인해보겠다.

 

EPS (👎👎)

2021-12          👉 연간 46,880원 / 분기 3,356원 (작년 말 대비 연간 📈)
2022-09          👉 분기 7,848원 (작년 말 대비 분기 📈)
2022-12          👉 연간 31,091원 / 분기 -1,489원

  • 작년 3분기 대비 작년 말 실적이 하락했다.
  • 2021년 말 연간 EPS 대비 실적이 하락하였다.
  • 2021년 말 분기 EPS 대비 실적 하락하였다.
  • 2022년 실적이 하락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PS (🤚)

2021-12          👉 분기 278,455원(2021-12 말 종가; 615,000원) (작년 말 대비 📉)
2022-09          👉 분기 417,614원(2022-09 말 종가; 536,000원) (작년 말 대비 📈)
2022-12          👉 분기 401,795원(2022-12 말 종가; 600,000원)

  • 주당 순 자산을 의미한다.
  • 작년 12월 말 주가가 12월 BPS보다 1.49배 정도 높기 때문에, 원금보장안정성은 만족하지 않는다.
  • (재작년말 주가)/(재작년말 BPS) = 2.20 대비 (12월 말 주가)/(12월 예상 BPS) = 1.49 이므로 수치가 하락하여 투자 매력은 상승했다.

 

 

PBR (🤚)

2021-12          👉 분기 2.21 (작년 말 대비 📈)
2022-09          👉 분기 1.28 (작년 말 대비 📉)
2022-12          👉 분기 1.49

  • 작년 동일 분기 PBR 대비 0.72 낮아졌기 때문에 저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지난 3분기 PBR 대비 0.21 높아졌기 때문에 살짝 고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보통 평가의 기준이 되는 0.7 ~ 1.5 사이이므로, 주가가 주당순자산에 비해 적정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ROE/ROA (👎)

(ROE) 2021-12         👉 연간 18.47% (작년 말 대비 📈)
(ROE) 2022-12         👉 연간 6.94%

(ROA) 2021-12         👉 연간 8.55% (작년 말 대비 📈)
(ROA) 2022-12         👉 연간 3.69%

2021-12 ROE-ROA         👉 연간 9.92% (작년 말 대비 📈)
2022-12 ROE-ROA         👉 연간 3.25%

  • 재작년보다 자기자본에 비해 당기순이익을 적게 거두어 비효율적인 사업을 운영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ROE-ROA를 보면 올해의 자기자본 비율이 부채 비율보다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 내년 예상 ROE, ROA 수치는 각각 6.7%, 3.47%로, ROE-ROA 계산 시 3.23%이므로
    자기자본 비율올해보다 더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