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4ME

카카오 주식 분석 / IT, 서비스 관련주 본문

금융분석/국내주식

카카오 주식 분석 / IT, 서비스 관련주

de_youn 2023. 4. 28. 20:42
반응형

1995년 2월 16일 설립한 카카오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으로 2017년 7월 10일 코스피에 종목코드 035720으로 상장하였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플랫폼 부문(52.6%), 콘텐츠 부문(47.4%)매출비중을 기록하고 있으며, [커뮤니케이션 및 포털]-국내 주요 모바일 메신저(95.0%)[음원서비스](50.0%)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2023년 4월 27일 기준 김범수(13.25%)케이큐브홀딩스(10.50%) 등의 지배구조로 이루어져있으며, 연관테마로 인터넷서비스, NFT, 언택트, 광고, 유통, 모빌리티가 존재하며 각 테마들은 -2.70%-5.26%-3.32%-2.80%-3.88%, -4.19%의 변동이 있었다.

모빌리티 테마에서 1주 수익률 기준 50위(-3.63%)를 기록하고 있다.

 

카카오-로고

 

카카오-3개월-주가
카카오 최근 3개월간 주가 추이

 

기업 개요

네이버 증권 曰(에프앤가이드 發)

더보기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커머스, 모빌리티, 페이, 게임, 뮤직,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 매출은 플랫폼 부문 52.6%, 콘텐츠 부문 47.4%로 구성됐음.

신규 사업에 지속 투자하고 있음. 카카오엔터프라이즈를 통해 B2B 행보를 본격화할 계획이며 카카오브레인은 기술 트렌드 센서 역할을 하고 있음.

2022년 4월에는 디지털헬스케어 사업 본격화를 위해 카카오헬스케어를 출범함.

 

배당현황

 

 

배당을 주는 주식으로 연간지급을 하고 있으며, 배당수익률은 낮은 편이다.

작년 배당락일은 12월 28일이었으며, 지급된 배당금60원이었다.

 

카카오-배당수익률
카카오 2011년 ~ 2022년 배당수익률

 

펀더멘탈 상황 분석

 

카카오-3개월-외인보유율
카카오 최근 3개월간 외인보유율 추이

 

포스팅 일자 | 양방향미디어와서비스주(13곳) 기준
외인보유율 확인 시, 2023년 2월 3일 26.6%로 최고점을 기록하다가
이후, 그래프 상으로 점차 하락하다가
3월 15일, 25.6%로 최저점
기록했다.
2023년 4월 28일, 26.19%를 기록했다.

 

펀더멘탈명 순위 금액 비고
시가총액 2위 25조 8927억원 코스피 13위
1위(NAVER; 31조 5466억원)
자산 2위 22조 9635억원 1위(NAVER; 33조 8990억원)
부채 2위 9조 4316억원 1위(NAVER; 10조 4487억원)
부채/(자산+부채) 비율 4위 29.11% 1위(플리토; 34.04%)
매출액 2위 7조 1068억원 1위(NAVER; 8조 2201억원)
매출액 증가율 7위 15.81% 1위(캐리소프트; 50.88%)
영업이익 2위 5803억원 1위(NAVER; 1조 3047억원)
영업이익 증가율 4위 -2.45% 1위(메쎄이상; 361.19%)
당기순이익 1위 1조 626억원  
주당순이익 3위 3037원 1위(아프리카TV; 5197원)

 

다양한 지표 분석

포스팅 일자 | 양방향미디어와서비스주(13곳) 기준
PER 오름차순으로 11위(19.13)
PBR 오름차순으로 7위(2.54) 이다.

 

카카오-연간지표
카카오 2018년 ~ 2023년 연간지표

 

카카오-분기지표
카카오 2021년 12월 ~ 2022년 12월 분기지표

 

크게 EPSBPSPBR 그리고 ROE/ROA를 확인해보겠다.

 

EPS (👎👎)

2021-12          👉 연간 3,132원 / 분기 172원 (작년 말 대비 연간 📈)
2022-09          👉 분기 239원 (작년 말 대비 분기 📈)
2022-12          👉 연간 3,037원 / 분기 -279원

  • 작년 3분기 대비 작년 말 실적이 하락했다.
  • 2021년 말 연간 EPS 대비 실적이 하락하였다.
  • 2021년 말 분기 EPS 대비 실적 하락하였다.
  • 2022년 실적이 하락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PS (🤚)

2021-12          👉 분기 23,018원(2021-12 말 종가; 112,500원) (작년 말 대비 📈)
2022-09          👉 분기 26,253원(2022-09 말 종가; 57,100원) (작년 말 대비 📈)
2022-12          👉 분기 22,893원(2022-12 말 종가; 53,100원)

  • 주당 순 자산을 의미한다.
  • 작년 12월 말 주가가 12월 BPS보다 2.31배 정도 높기 때문에, 원금보장안정성은 만족하지 않는다.
  • (재작년말 주가)/(재작년말 BPS) = 4.88 대비 (12월 말 주가)/(12월 예상 BPS) = 2.31 이므로 수치가 하락하여 투자 매력은 상승했다.

 

 

PBR (👎)

2021-12          👉 분기 4.89 (작년 말 대비 📈)
2022-09          👉 분기 2.18 (작년 말 대비 📉)
2022-12          👉 분기 2.32

  • 작년 동일 분기 PBR 대비 2.57 낮아졌기 때문에 굉장히 저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지난 3분기 PBR 대비 0.14 높아졌기 때문에 살짝 고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보통 평가의 기준이 되는 1.5 이상이므로, 주가가 주당순자산에 비해 고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ROE/ROA (🤚)

(ROE) 2021-12         👉 연간 17.1% (작년 말 대비 📈)
(ROE) 2022-12         👉 연간 13.54%

(ROA) 2021-12         👉 연간 9.48% (작년 말 대비 📈)
(ROA) 2022-12         👉 연간 4.65%

2021-12 ROE-ROA         👉 연간 7.62% (작년 말 대비 📉)
2022-12 ROE-ROA         👉 연간 8.89%

  • 재작년보다 자기자본에 비해 당기순이익을 적게 거두어 비효율적인 사업을 운영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ROE-ROA를 보면 올해의 자기자본 비율이 부채 비율보다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