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4ME
CJ 바이오사이언스 주식 분석 / 바이오 관련주 본문
2009년 11월 18일 설립한 CJ 바이오사이언스은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으로 2019년 12월 26일 코스닥에 종목코드 311690으로 상장하였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미생물 생명정보 플랫폼 및 솔루션(88.8%), 기타매출(6.7%),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헬스케어(4.5%)의 매출비중을 기록하고 있다.
2023년 4월 7일 기준 CJ제일제당(43.89%), 천종식(6.65%) 등의 지배구조로 이루어져있으며, 연관테마로 플랫폼이 존재하며 해당 테마는 +1.23% 의 변동이 있었다.
플랫폼 테마에서 1주 수익률 기준 1위(+51.50%)를 기록하고 있다.
기업 개요
네이버 증권 曰(에프앤가이드 發)
동사는 생명정보 분석핵심 역량과 BT/IT 융합 기술을 보유한 유전체 빅데이터 기반의 마이크로바이옴 플랫폼기업임.
동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크게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미생물 유전체 생명정보 분석 플랫폼 및 솔루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맞춤형 헬스케어 사업으로 나뉨.
주요 제품으로는 'EzBioCloud 플랫폼', 'NGS/BI 통합 솔루션', 'TrueBac ID' 등이 있음.
배당현황
배당을 하지 않는 종목이다.
펀더멘탈 상황 분석
포스팅 일자 | 건강관리기술주(12곳) 기준
외인보유율 확인 시, 2023년 1월 12일 3%로 최고점을 기록하다가
이후, 그래프 상으로 점차 하락하는 것으로 보이다가
4월 6일, 2.52%로 최저점을 기록했다.
2023년 4월 7일, 2.66%를 기록했다.
펀더멘탈명 | 순위 | 금액 | 비고 |
시가총액 | 4위 | 2525억원 | 코스닥 348위 1위(루닛; 6446억원) |
자산 | 7위 | 914억원 | 1위(솔본; 2207억원) |
부채 | 2위 | 417억원 | 1위(케어랩스; 891억원) |
부채/(자산+부채) 비율 | 5위 | 31.32% | 1위(라이프시맨틱스; 38.87%) |
매출액 | 10위 | 41억원 | 1위(유비케어; 1333억원) |
매출액 증가율 | 9위 | -6.61% | 1위(뷰노; 268.1%) |
영업이익 | 11위 | -332억원 | 1위(제이시스메디칼; 340억원) |
영업이익 증가율 | 10위 | -228.78% | 1위(이지케어텍; 114.91%) |
당기순이익 | 10위 | -349억원 | 1위(제이시스메디칼; 270억원) |
주당순이익 | 12위 | -5940원 | 1위(제이시스메디칼; 381원) |
다양한 지표 분석
포스팅 일자 | 건강관리기술주(12곳) 기준
PER 오름차순으로 6위(-7.23)
PBR 오름차순으로 7위(5.08) 이다.
크게 EPS, BPS, PBR 그리고 ROE/ROA를 확인해보겠다.
EPS (👎)
2021-12 👉 연간 -4,532원 / 분기 -1,213원 (작년 말 대비 연간 📈)
2022-09 👉 분기 -1,504원 (작년 말 대비 분기 📈)
2022-12 👉 연간 -5,940원 / 분기 -2,055원
- 작년 3분기 대비 작년 말 실적이 하락했다.
- 2021년 말 연간 EPS 대비 실적이 하락하였다.
- 2021년 말 분기 EPS 대비 실적이 하락하였다.
- 2022년 실적이 하락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PS (👎)
2021-12 👉 분기 14,957원(2021-12 말 종가; 48,700원) (작년 말 대비 📈)
2022-09 👉 분기 10,447원(2022-09 말 종가; 25,950원) (작년 말 대비 📈)
2022-12 👉 분기 8,447원(2022-12 말 종가; 29,000원)
- 주당 순 자산을 의미한다.
- 작년 12월 말 주가가 12월 BPS보다 3.43배 정도 높기 때문에, 원금보장안정성은 만족하지 않는다.
- (재작년말 주가)/(재작년말 BPS) = 3.25 대비 (12월 말 주가)/(12월 예상 BPS) = 3.43 이므로 수치가 상승하여 투자 매력은 하락했다.
PBR (👎)
2021-12 👉 분기 3.26 (작년 말 대비 📉)
2022-09 👉 분기 2.48 (작년 말 대비 📉)
2022-12 👉 분기 3.43
- 작년 동일 분기 PBR 대비 0.17 높아졌기 때문에 살짝 고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지난 3분기 PBR 대비 0.95 높아졌기 때문에 고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보통 평가의 기준이 되는 1.5 이상이므로, 주가가 주당순자산에 비해 고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ROE/ROA (👎)
(ROE) 2021-12 👉 연간 -31.51% (작년 말 대비 📈)
(ROE) 2022-12 👉 연간 -50.78%
(ROA) 2021-12 👉 연간 -20.32% (작년 말 대비 📈)
(ROA) 2022-12 👉 연간 -33.61%
2021-12 ROE-ROA 👉 연간 -11.19% (작년 말 대비 📈)
2022-12 ROE-ROA 👉 연간 -17.17%
- 재작년보다 자기자본에 비해 당기순이익을 적게 거두어 비효율적인 사업을 운영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ROE-ROA를 보면 올해의 자기자본 비율이 부채 비율보다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금융분석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코플라스틱 주식 분석 / 자동차 부품 관련주 (0) | 2023.04.12 |
---|---|
한화솔루션 주식 분석 / 화학 및 재생에너지 관련주 (0) | 2023.04.10 |
LG전자 주식 분석 / 전자제품 관련주 (0) | 2023.04.07 |
대한항공 주식 분석 / 항공 관련주 (0) | 2023.04.06 |
자이글 주식 분석 / 2차전지 관련주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