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4ME

스튜디오드래곤 주식 분석 / 연진아 방송 및 엔터테인먼트 관련주 본문

금융분석/국내주식

스튜디오드래곤 주식 분석 / 연진아 방송 및 엔터테인먼트 관련주

de_youn 2023. 3. 11. 20:01
반응형

2016년 5월 3일 설립한 스튜디오드래곤방송 프로그램 제작업업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으로 2017년 11월 24일 코스닥에 종목코드 253450으로 상장하였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드라마 판매(68.5%), 드라마 편성(27.3%), 기타(4.2%)매출비중을 기록하고 있다.

2023년 3월 10일 기준 CJ ENM(54.38%)네이버(6.25%) 등의 지배구조로 이루어져있으며, 연관테마로 언택트, 컨텐츠가 존재하며 각 테마들은 -3.07%-3.69% 의 변동이 있었다.

언택트 테마에서 1주 수익률 기준 35위(-0.62%)를 기록하고 있다.

 

스튜디오드래곤-로고

 

스튜디오드래곤-3개월-주가
스튜디오드래곤 최근 3개월간 주가 추이

 

기업 개요

 

 

네이버 증권 曰(에프앤가이드 發)

더보기

2016년 5월 CJ ENM의 드라마 사업본부가 물적분할되어 설립,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고 VOD, OTT 등을 통한 유통 및 관련 부가사업을 영위함.

도깨비, 비밀의 숲, 미스터션샤인, 사랑의 불시착 등 완성도와 화제성 높은 드라마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전통 미디어, 디지털, OTT 등 뉴미디어까지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음.

해외 로컬 제작사, 방송사들과 파트너쉽을 통해 현지화를 확대 중임.

 

배당현황

 

 

배당을 주지 않는 주식이다.

 

펀더멘탈 상황 분석

 

스튜디오드래곤-3개월-외인보유율
스튜디오드래곤 최근 3개월간 외인보유율 추이

 

포스팅 일자 | 방송과엔터테인먼트주(56곳) 기준
외인보유율을 보면 2023년 2월 초, 11.3%로 최고점을 기록하다가
이후, 그래프 상으로 점차 하락하는 추세를 보인다.
2023년 3월 10일, 9.84% 최저점을 기록했다.

 

펀더멘탈명 순위 금액 비고
시가총액 4위 2조 4077억원 코스닥 12위
1위(하이브; 7억 5966억원)
자산 10위 8840억원 1위(CJ ENM; 7억 9406억원)
부채 12위 2002억원 1위(CJ ENM; 3억 7373억원)
부채/(자산+부채) 비율 41위 18.46% 1위(제이웨이; 68.08%)
매출액 9위 4871억원 1위(CJ ENM; 3억 5524억원)
매출액 증가율 48위 -7.35% 1위(초록뱀컴퍼니; 271.54%)
영업이익 9위 526억원 1위(CJ ENM; 2969억원)
영업이익 증가율 38위 7.04% 1위(삼화네트웍스; 3365.42%)
당기순이익 11위 390억원 1위(CJ ENM; 2276억원)
주당순이익 5위 1941원 1위(에스엠; 7222원)

 

 

다양한 지표 분석

포스팅 일자 | 방송과엔터테인먼트주(56곳) 기준
PER 오름차순으로 48위(41.27)
PBR 오름차순으로 48위(3.54) 이다.

 

스튜디오드래곤-연간지표
스튜디오드래곤 2019년 ~ 2023년 연간지표

 

스튜디오드래곤-분기지표
스튜디오드래곤 2021년 9월 ~ 2022년 9월 분기지표

 

크게 EPSBPSPBR 그리고 ROE/ROA를 확인해보겠다.

 

EPS (👎)

2021-12          👉 연간 46,880원 / 분기 -26원 (작년 말 대비 연간 📈)
2022-09          👉 분기 594원 (작년 말 대비 분기 📈)
2022-12          👉 연간 31,091원 / 분기 83원

  • 작년 3분기 대비 작년 말 실적이 하락했다.
  • 2021년 말 연간 EPS 대비 실적이 하락하였다.
  • 2021년 말 분기 EPS 대비 실적 상승하였다.
  • 2022년 실적이 하락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PS (🤚)

2021-12          👉 분기 22,785원(2021-12 말 종가; 91,000원) (작년 말 대비 📉)
2022-09          👉 분기 22,648원(2022-09 말 종가; 66,500원) (작년 말 대비 📉)
2022-12          👉 분기 24,700원(2022-12 말 종가; 86,000원)

  • 주당 순 자산을 의미한다.
  • 작년 12월 말 주가가 12월 BPS보다 3.48배 정도 높기 때문에, 원금보장안정성은 만족하지 않는다.
  • (재작년말 주가)/(재작년말 BPS) = 3.99 대비 (12월 말 주가)/(12월 예상 BPS) = 3.48 이므로 수치가 하락하여 투자 매력은 상승했다.

 

 

PBR (👎)

2021-12          👉 분기 3.99 (작년 말 대비 📈)
2022-09          👉 분기 2.94 (작년 말 대비 📉)
2022-12          👉 분기 3.3

  • 작년 동일 분기 PBR 대비 0.69 낮아졌으며 저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지난 3분기 PBR 대비 0.36 높아졌기 때문에 살짝 고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보통 평가의 기준이 되는 1.5 이상이므로, 주가가 주당순자산에 비해 고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ROE/ROA (👍)

(ROE) 2021-12         👉 연간 6.04% (작년 말 대비 📉)
(ROE) 2022-12         👉 연간 9.28%

(ROA) 2021-12         👉 연간 4.76% (작년 말 대비 📉)
(ROA) 2022-12         👉 연간 6.89%

2021-12 ROE-ROA         👉 연간 1.28% (작년 말 대비 📉)
2022-12 ROE-ROA         👉 연간 2.39%

  • 재작년보다 자기자본에 비해 당기순이익을 많이 거두어 효율적인 사업을 운영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ROE-ROA를 보면 올해의 자기자본 비율이 부채 비율보다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