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4ME
[금리와 환율] 2023년 한국 금리와 환율 본문
반응형
2022년 12월 15일 04:00에
연준금리(미국금리)가
이전 4.0%의 금리를 4.5%로 상승하였다.
대한민국은 2022년 11월 24일 10:00에 이미
10월 발표한 금리 3.0%에서 3.25%로 상승하였다.
연준과 무려 1.25%의 금리차를 보이는 것이다.
또한, 2022년 7월부터 한-미 금리가 역전되며
이미 조금씩 강달러 현상이 보이던 것이 더욱 심화되어
2022년 10월 14일 1442.50(최고점)원을 달성했다.
상기 그래프를 보면 최근들어 갑자기
약달러로 돌변하는 현상이 보이는데
이는 1차적으로 외환보유고를 풀어서 나타난 것이고
2차적으로는 국민연금이 보유한 3300억$ 중 100억$를 매도하여 나타난 현상이다.
약달러로 전환된 것은 좋은 신호이나,
현재 국내 가계부채나 기업부채가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에
앞으로 연준과 금리 격차가 얼마나 더 벌어질지는 상상할 수 없다.
금리 격차가 심각해질수록 환율 방어도 어려워질 것이며,
국내 물가 또한 안정시키기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하단은 2023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정기회의 일자를 정리한 것이다.
회의일 | 의사록 공개일 | 회의일 | 의사록 공개일 |
1.13(금) | 1.31(화) | 7.13(목) | 8.1(화) |
2.23(목) | 3.14(화) | 8.24(목) | 9.12(화) |
3.23(목) | 4.7(금) | 9.26(화) | 10.13(금) |
4.13(목) | 5.2(화) | 10.19(목) | 11.7(화) |
5.25(목) | 6.13(화) | 11.30(목) | 12.19(화) |
6.21(수) | 7.7(금) | 12.28(목) | 미정 |
파란색 하이라이팅은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일자를 뜻하며,
빨간색 하이라이팅은 금융안정회의 일자를 뜻한다.
과연 2023년의 금리는 어떻게 결정될 것이며,
금리 결정에 따른 원/달러 환율의 추이도 궁금하다.
반응형
'금융분석 > 국내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주요 기업 주주총회와 주주제안 (0) | 2023.03.06 |
---|---|
[반도체 보조금법] 미국 / 반도체 보조금법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0) | 2023.03.02 |
[금리] 2023년 2월 23일 한국 금리 / 한국 금리 / 금리 / 금리 방향 예측 / 금리 분석 (0) | 2023.02.23 |
[주주환원] 주주환원 / 얼라인 파트너스 / 은행주 / 저평가 은행주 해결책 (0) | 2023.01.03 |
[물가] 2022년 12월 한국 소비자 물가 지수 / 한국 CPI / 2023년 한국 물가 전망 (0) | 2022.12.3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