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4ME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분석 / MU 분석 / 반도체주 / S&P 500 / 나스닥 본문
기업 개요
네이버 증권 曰
메모리 및 스토리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이다.
이 회사의 메모리와 스토리지 기술 포트폴리오는 DRAM, NAND, 3차원 XPoint 메모리, NOR가 있다.
브랜드로는 Micron과 Crucial이 있으며 비즈니스는 아래의 부서들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클라우드 서버, 엔터프라이즈, 그래픽 및 네트워킹 시장에 판매되는 메모리 제품을 포함하는 컴퓨팅 및 네트워킹 사업부(CNBU), 스마트폰 및 기타 모바일 장치 시장에 판매되는 메모리 제품을 포함하는 모바일 사업부(MBU) ,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클라이언트 및 소비자 스토리지 시장에 판매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및 솔루션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사업부(SBU), 구성 요소 및 웨이퍼 형태로 판매되는 기타 스토리지 제품,자동차, 산업 및 소비자 시장에 판매되는 메모리 및 스토리지 제품을 포함하는 임베디드 사업부(EBU).
1978년 10월 5일 설립한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이하 MU)는
1989년 5월 16일, 미국 NASDAQ에 종목코드 MU로 상장한
메모리 반도체 생산기업이다.
2022년 3분기, 전세계 기준,
삼성전자(31.4%), SK그룹(18.5%), 키옥시아(20.6%), 웨스턴디지털(12.6%)의 뒤를 이어
12.3%의 NAND 플래시 시장을 점유(5위)하고 있으며,
지난 2분기 대비 0.3% 하락한 수치이다. 상승한 곳은 키옥시아(+5%)
2022년 3분기, 전세계 기준,
삼성전자(40.7%), SK하이닉스(28.8%)의 뒤를 이어
26.4%의 DRAM 시장을 점유(3위)하고 있으며,
지난 2분기 대비 1.9% 상승한 수치이다. 삼성전자는 2.8% 하락, SK하이닉스는 1.4% 상승
배당을 주는 주식으로 1996년 이후 지급이 없다가,
2021년부터 분기지급을 하고 있으며, 배당수익률은 낮은 편이다.
올해 4분기 배당락일은 10월 7일이었으며,
지급한 배당금은 0.115$이다.
펀더멘탈 상황 분석
미국에 상장된 반도체주 49곳 중,
시가총액은 8번째로 높으며, 부채비율은 27번째로 많다.
주가수익비율(PER)은 33번째로 높다.
크게 EPS, BPS, PBR 그리고 ROE/ROA를 확인해보겠다.
EPS (👍)
2021-12 👉 5.14$ (올해 말 대비 📉)
2022-12-14 👉 7.73$ (올해 말 대비 📉)
2022-12 예상 👉 7.81$
- 현재 EPS 대비 예상 EPS 실적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 작년 동일 분기 대비 실적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 올해 실적이 상승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PS (✋👍)
2021-12 👉 39.23$(2021-12 말 종가; 93.15$) (올해 말 대비 📉)
2022-12-14 👉 45.49$(2022-12-14 종가; 54.59$) (올해 말 대비 📈)
2022-12 예상 👉 44.88$
- 주당 순 자산을 의미한다.
- 현재 BPS보다 현 주가가 약 1.2배 높으므로 원금보장안정성이 불충분하다.
- (작년말 주가)/(작년말 BPS) = (2.37) 대비 (현 주가)/(12월 예상 BPS) = (1.21) 수치가 더 낮아 투자 매력이 상승했다.
PBR (👍✋)
2021-12 👉 1.88 (올해 말 대비 📈)
2022-12-14 👉 1.20 (올해 말 대비 📉)
2022-12 예상 👉 1.24
- 주가가 주당순자산에 비해 적정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작년말 PBR 대비 예상 PBR이 0.64 낮아졌기 때문에 살짝 저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현재 PBR 대비 예상 PBR이 0.04 상승하였다.
- 보통 평가의 기준이 되는 0.7~1.5 사이이므로, 적정평가 단계이다.
ROE/ROA (👍)
(ROE) 2021-12 👉 14.13% (올해 말 대비 📉)
(ROE) 2022-12 예상 👉 18.51%
(ROA) 2021-12 👉 10.42% (올해 말 대비 📉)
(ROA) 2022-12 예상 👉 13.88%
2021-12 ROE-ROA 👉 3.71% (올해 말 대비 📉)
2022-12 예상 ROE-ROA 👉 4.63%
- 작년보다 자기자본에 비해 당기순이익이 많아 효율적인 사업을 운영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ROE보다 ROA가 더 낮은 수치이므로 자기자본보다 차입한 부채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ROE-ROA를 보면 올해의 자기자본 비율이 부채 비율보다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금융분석 > 국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T/T] AT&T 분석 / T 분석 / 통신주 / 배당주 / S&P 500 / NYSE / 뉴욕 증권 거래소 (0) | 2022.12.20 |
---|---|
[애플/AAPL] 애플 분석 / AAPL 분석 / 기술주 / S&P 500 / DJIA / 나스닥 (0) | 2022.12.15 |